-
2025-06-27
태국, 2G/3G만 갖춘 장비 인증 및 수입 중단 ㄴ태국 국립방송통신위원회(NBTC)는 2025년 6월 “2G 및 3G 기술만 지원하는 통신기계 설비에 대한 수입 및 검측 인증 작업을 종료한다”고 공고했다. 이 공고는 2025년 6월 30일에 정식으로 효력을 발생한다. -
2025-06-25
오스트레일리아, AS/NZS 62368.1:2022 표준 강제 시행2022년 6월 24일 AS/NZS 62368.1:2022 표준(음향 및 영상, 정보통신기술 장비에 대한 안전요구사항)이 공식 발표되었다. 이 표준은 3년 과도기를 가지며 2025년 6월 24일에 과도기는 마감되었으며 현재 오스트레일리아 인증을 신청하는 모든 관련 제품은 AS/NZS 62368.1:2022 표준에 부합하는 안전 테스트 보고서를 제공해야 한다. -
2025-06-23
우크라이나, 5G NR 주파수 구간 무선 기기 사용 규정 발표2025년 6월 4일, 우크라이나 국가 전자 통신, 무선 스펙트럼 및 우정 서비스 규제 위원회(NCEC)는 제81호 결의를 개정하여 무선 설비와 방사 설비의 사용 조건을 명확히 했다. -
2025-06-20
Nepal, IPv6에 대한 대중상담 개시2025년 6월 4일, 네팔통신관리국(NTA)은 네팔에서 IPv6 네트워크를 보급, 배포 및 관리하기 위한 ‘2082(2025)년 IPv6 이전조례’를 제정하였으며, 이 규정에 관한 모든 관계자들로부터 이 조례에 대한 의견을 구하고 있다. -
2025-06-18
칠레 SUBTEL, 제737호 결의 발표칠레통신규제기관(Subsecretaría de Telecommunications, SUBTEL)은 최근 현행 제1985호 결의를 갱신하기 위해 제737호 결의를 발표했으며, 새로운 결의는 단거리장비(SRD)의 인증 프레임워크에 대해 중대한 조정을 진행했다. -
2025-06-16
니제르 ARCEP 인증서 유효기간 3년으로 단축2025년 2월 18일 니제르 전자 통신 및 우편 규제국(ARCEP)은 형식 인증 법규를 개정하는 법령 00010/MCP/EN/SG/DL을 발행했다. 주요 업데이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2025-06-13
Qatar CRA, IoT 및 M2M 기술적 입장 서류 발표최근 카타르 통신 규제국 CRA는 혁신을 촉진하고 보안을 강화하며 카타르 경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사물인터넷(IoT)과 기계 대 기계(M2M) 기술에 관한 입장 문서를 발표했다. -
2025-06-11
인도네시아와 한국, 통신장비 실험실 상호인정협정 공식 시행인도네시아와 한국은 2025년 5월 27일부터 통신장비 시험실에 대한 상호인정협정(MRA)을 정식으로 시행한다. 2024년 5월 27일 양측이 체결한 MRA 협정에 따라 인증협력에 관한 양국의 협력 강화를 목적으로 한다. -
2025-06-09
부룬디 ARCT, 새로운 형식 인증 법규 발표부룬디 통신 감독관리국(ARCT)은 2025년 4월 17일에 발표된 제580/01호 법령에 따라 2025년 5월 22일에 홈페이지에 새로운 형식 인증 규정을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이 법규는 공공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무선 설비와 단말기의 심사비준 및 관리 절차를 규범화하고, 감독관리를 강화하여 위조 설비의 수입을 억제하고, 단말 사용자의 권익을 확실하게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
2025-06-06
몽골 CRC, 5G 네트워크 오픈2025년 5월 16일, 몽골통신규제위원회(CRC)는 2025년 5월 15일에 5G 네트워크를 정식으로 오픈한다고 선포함과 동시에 몽골 국내 서비스 제공업체에게 관련 운영 허가증을 발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