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09-24
세르비아, 국방 및 안보 부서에 스펙트럼 방출 요구세르비아는 최근 ‘무선 주파수 대역 할당 계획’의 개정안을 발표했다. 이 개정안은 2025년 9월 6일부터 발효된다. -
2025-09-22
인도, MTCTE 6단계 강제 시행MRT가 2025년 3월 7일에 발표한 뉴스에 따르면, 통신 장비 강제 검사 및 인증(MTCTE)의 6단계는 2025년 8월 24일에 정식으로 효력을 발생했다. -
2025-09-19
필리핀: 2G와 3G 모바일 네트워크를 단계적으로 폐쇄 예정2025년 9월, 필리핀 국립 통신 위원회(NTC)는 “제003-09-2025호 각서——제3세대(3G) 및 제2세대(2G) 모바일 네트워크 서비스 단계적 중단에 관한 메모서”를 발표했다. -
2025-09-17
우즈베키스탄, 전자 장비 유해 물질 기술 규정 채택우즈베키스탄은 최근에 전기 및 무선 전자 제품의 유해 물질을 제한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 법규(결의 517호)를 채택했다. 이 규정은 2026년 2월 15일에 발효된다. -
2025-09-15
말레이시아 SIRIM, 5G n79 및 LTE B31 & B39 인증 오픈2025년 9월 3일, 말레이시아 표준 및 산업 연구원(SIRIM)은 공지 SQASI/CMCS/1/25/0004를 발표하여 말레이시아 통신 및 멀티미디어 위원회(MCMC)가 IMT 주파수 구간 31 (450MHz), 주파수 구간 39 (1900MHz) 및 주파수 구간 79(4700MHz) 주파수 구간 인증을 허용했다고 발표했다. 단, 하기 사용조건 및 인증요구를 준수하여야 한다. -
2025-09-12
이집트 NTRA, 3G 장비만 지원하는 수입 및 형식 인증 중단 발표2025년 9월 1일, 이집트 국립 통신 관리국(NTRA)은 정식으로 통신 장비 제조업체와 수입업자에게 통지를 발표하여 2025년 10월 1일부터 3G 기술만 채택한 셀룰러 장비는 더 이상 형식 인증이나 수입 허가를 받지 못한다고 발표했다. -
2025-09-10
한국 RRA, ‘방송 통신기자재 등의 적합성 평가에 관한 고시’ 개정판 발표한국 RRA (National Radio Research Agency)는 최근 ‘방송통신기자재 등의 적합성평가에 관한 고시’를 개정한다고 발표하였다. 이 개정은 2025년 8월 29일부터 효력을 발생한다. 이러한 개정은 자체 적합성 선언 제도를 강화하고, 장비 분류를 명확히 하며, 용어를 통일시키기 위한 것이다. -
2025-09-08
한국 RRA, 더 엄격한 웹캠 보안 요구 사항 발표한국국립무선연구원(RRA)은 2025년 8월 20일 ‘단말장비기술표준’의 일부 개정초안에 대한 의견청취를 실시하였다. 이 개정은 웹캠의 보안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
2025-09-05
뉴질랜드 무선 스펙트럼 관리국, 2025판 ‘무선 표준 통지’ 발표2025년 9월 1일, 뉴질랜드 무선 스펙트럼 관리국(RSM)은 “무선 통신 조례 (무선 표준) 통지 2025”를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이번 개정은 현재 기술 발전에 적응하고 국제와 연결하기 위한 여러 가지 변혁을 도입하였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2025-09-03
한국, ‘에너지효율관리설비 운영규정’ 개정 예정한국산업통상자원부(MOTIE)는 8월 18일 ‘에너지효율관리장비 운영규정’ 개정 초안을 제출했다. 이번 개정은 여러 종류의 가전제품의 기존 에너지 소모 기준을 갱신할 것이며, 에너지 효율 관리 설비의 적용 범위를 확대하여 더 많은 신규 품목을 포괄할 것이다. 관련 개정 내용의 요약은 다음 표와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