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01-17
베트남, SAR 신규 발표베트남 정보 및 통신부(MIC)는 최근 제19/2024/TT-BTTTT호 공지를 발표하여 QCVN 134:2024/BTTTT(핸드헬드 및 밀착 무선통신장비의 흡수비율 국가기술규범)의 기술요구를 확인하였다. 이 규범은 특히 핸드헬드 및 웨어러블 무선통신 장비의 흡수비율(SAR)표준을 위한것이다. QCVN 134:2024/BTTTT는 2025년 2월 15일부터 정식 발효된다. -
2025-01-15
이집트NTRA, eSIM기술 활성화2024년 12월 5일, 이집트 국가통신관리국(NTRA)은 4개 이동사업자가 이 서비스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모든 기술 테스트를 완료한 후 이집트 시장에 eSIM 기술을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이 기술은 통신 분야의 최신 디지털 혁신 중 하나이며 이집트의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계되었다. -
2025-01-13
베트남, MIC와 MOST 통합으로 정부 구조 간소화최근 배트남은 결의 제18-NQ/TW호에 따라 문서 제141/KH-BCĐTKNQ18호를 승인하여 정부구조 간소화 제안을 확인하였다. -
2025-01-10
인도, 1월 MTCTE인증 업데이트 발표2025년 1월, 인도통신공정센터(TEC)는 통신장비 강제테스트 및 인증(MTCTE)에 대한 업데이트를 발표하였다. 주요 변경사항은 다음과 같다. -
2025-01-08
튀니지CERT, Wi-Fi 6E 오픈2024년 12월 13일, 튀니지 공화국 통신기술부(CERT)는 관보를 발표하여 튀니지 주파수 관리국(ANF)의 의견에 따라 2024년 12월 10일에 Wi-Fi 6E기술의 사용조건에 대한 결정을 발표하였다. 상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2025-01-06
멕시코IFT, 64-71 GHz를 비규제 주파수 구간으로 선포2024년 12월 16일, 멕시코연방 통신위원회(IFT)는 64-71 GHz를 비규제 주파수구간으로 할당한다는 보도자료를 발표하였다. -
2025-01-03
SDPPI, 2025년 해외인정실험실 목록을 발표하지 않음2025년 1월 2일, 인도네시아 우편 및 정보자원 장비 총국(SDPPI)은 Kepdirjen No. 109/2024법규에 따라 전기통신장비 인증에 대한 모든 해외인정실험실의 승인자격이 2025년 1월 1일에 일시 종료되었다는 공고를 발표하였다. -
2025-01-03
IMDA, 셀룰러 기지국과 중계기 시스템 및 셀룰러 이동단말기 기술규범 발표2024년 12월, 싱가포르 정보통신 미디어 발전국(IMDA) 는 셀룰러 기지국과 중계기 시스템 및 셀룰러 이동단말기 관련 두가지 기술규범을 발표하였다. -
2024-12-30
볼리비아ATT, 새로운 인증 규범 발표볼리비아 통신 및 운송 감독관리국(ATT)은 ‘통신과 ICT장비 등록 및 인증 지침’이라는 새로운 행정결의 ATT-DJ-RAR-TL LP 539/2024호를 발표하였다. -
2024-12-27
말라위MACRA, 라벨 인증 요구 발표2024년 11월 27일, 말라위 통신감독관리국(MACRA)은 2023년 ‘통신 (형식인증)조례’ 제7(3)조 규정에 따라 ‘형식인증수여조항 및 조건’을 발표하였다.